티스토리 뷰
홈택스 소득금액증명원 발급은 일반적인 용도의 발급뿐 아니라 ISA 가입용으로 소득확인증명서도 발급할 수 있으며, 서민형과 일반형 두 가지 모두 가능합니다.
참고로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5년간 매년 2천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이백만원의 소득까지 비과세, 이백만원 초과하는 소득은 9.9%로 분리과세합니다. 그리고, 만약에 연소득이 5천만원 이하인 직장인이거나 종합소득 3천5백만원 이하인 가입자는 250만원까지 비과세가 됩니다.
그리고, 의무가입기간은 5년(연소득 5천만원 이하 직장인, 종합소득 3천5백만원 이하 사업자, 청년(15~29세)은 3년)입니다. (이렇게 소득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세청 홈택스 소득금액증명원 발급이 필요합니다)
ISA는 한마디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통합해서 관리할 수 있는 계좌라고 보시면 됩니다. 해외에서는 꽤 인기있는 상품이라고 하던데, 우리나라는 이번에 처음 시행이라 그 효과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긴 합니다.
이 ISA에 대해서는 글 하단에 따로 말씀드리기로 하고, 우선 홈택스 소득금액증명원 발급방법을 한 번 보도록 하죠. 뭐 간단합니다.
ad1
ad1
▲ 홈택스 소득금액증명원 발급을 위해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메인화면에 보면, 조회, 발급, 민원증명, 신청, 제출, 신고, 납부 등 여러가지 메뉴가 나옵니다. 이 중에서 두번째 아이콘인 [민원증명] 메뉴를 클릭합니다.
▲ [민원증명신청] 메뉴에 보면 사업자등록증명, 휴업사실증명 등 여러가지 증명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사업자등록증명 서류를 뗄려고 인터넷에 접속했다가 메뉴 구성이나 UI가 너무 어렵고 설치프로그램도 너무 복잡해서 고생했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는 젊은 나도 이렇게 힘든데, 연세 있는 분들이 인터넷으로 업무 보기는 정말 힘들겠다고 생각했었죠. 이제는 정말 쉽고 편리해져서 누구나 어렵지 않게 서류를 뗄 수 있을 것 같네요.
메뉴 중에 보면 [소득금액증명신청] 메뉴와 [소득확인증명서(서민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가입용:ISA)]가 있는데 위에 있는게 일반적으로 홈택스 소득금액증명원을 발급하는 메뉴이고, 아래 메뉴가 ISA 서민형 가입하시는 분들이 홈택스 소득확인증명서를 발급하기 위해 이용하는 메뉴입니다. 당연한 얘기이지만, 본인의 공인인증서가 등록되어 있어야 발급가능합니다. 공인인증서 등록은 공인인증서와 주민등록번호만으로 아주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ISA에 대해서 말이 참 많더군요. 지난번 재형저축처럼, 홍보만 요란하고 실제 혜택은 별로 없다고도 하고, 수수료때문에 배보다 배꼽이 더 큰거 아니냐란 소리도 있고, 의무가입기간이나 금액한도 때문에 실질적인 혜택은 크지 않을꺼라는 얘기도 있습니다.
그래도,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요즘 워낙 비과세되는 상품이 적다보니 1년에 2천만원(수익 기준 2백만원)이라도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있다면 이용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더구나 의무가입기간이라는건 어떻게 보면 유동성을 막는 족쇄이지만, 어떻게 보면 딴 생각하지 못하고 꾸준히 돈을 모을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으니까요. 전 방카슈랑스 상품에 대해서 상당히 비관적인 입장이었는데, 지나고 보니 다른건 해지해서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고 남는건 방카슈랑스 상품 밖에 없더군요.
뭐 개인에 따라서 ISA에 대한 필요성이 다르겠지만, 가입해서 나쁠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의무가입기간이 있다는건 하루라도 빨리 가입해야 만기(해지) 날짜도 하루라도 빨라진다는 얘기니까, 저같으면 지금 당장은 큰 필요가 없더라도 우선 가입해놓고 볼 것 같습니다 ^^